탄핵 후 대통령 선거 일정 | 대통령 선거일
탄핵 후 대통령 선거 일정
윤석열이 탄핵됨에 따라 조기 대선이 치러집니다. 오늘은 탄핵 후 대통령 선거 일정, 대통령 선거일, 대통령 선거 주요 절차 등에 대해 알아보시죠.
탄핵 후 대통령 선거 일정 개요
2025년 4월 4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최종 확정하였고, 이에 따라 대통령직이 공석이 되었습니다. 헌법 제68조 제2항에 의거하여,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 절차가 시작되었습니다.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에 선거를 진행해야 하므로, 이번 선거는 2025년 6월 3일까지 치러져야 합니다.
이번 선거는 정상적인 임기 만료가 아닌 '조기 선거'로, 1987년 헌법 개정 이후 두 번째 탄핵에 의한 조기 선거입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의 선거 절차를 참고하여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현재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고 있으며, 선거일은 4월 14일까지 공식 공고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6월 3일 화요일에 선거가 실시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탄핵 후 대통령 선거 준비 절차
대통령 선거 준비 절차는 헌법 제68조와 공직선거법 제35조 제1항에 따라 60일 이내에 선거를 실시해야 합니다. 선거일은 국무회의에서 결정되며, 이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식 발표합니다. 각 정당은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을 진행하는데,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에서는 경선이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압축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중심의 경선이, 국민의힘은 김문수, 오세훈, 홍준표, 한동훈 등 여러 유력 후보들이 경쟁할 것으로 보입니다.
공직선거법 제53조에 따라 현직 광역자치단체장 및 국무위원 등 공직자는 선거일 30일 전인 5월 4일까지 사퇴서를 제출해야만 후보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는 공직을 이용한 선거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법적 장치로, 후보들이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 정당은 후보 선출과 공직자의 사퇴 등을 거쳐 대선 준비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대통령 선거일 및 기타 일정
- 대통령 탄핵 인용일 : 2025년 4월 4일
- 선거일 공식 공고 : 4월 14일까지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공고)
- 각 정당 경선 기간 :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 공직자 사퇴 마감일 : 5월 4일 (선거일 30일 전)
- 후보자 등록 기간: 5월 10일(선거 24일 전)
- 공식 선거운동 기간 : 5월 12일~6월 2일 (총 22일간)
- 재외국민 투표 기간 : 5월 20일~25일 (6일간, 전 세계 115개국 176개 공관)
- 사전투표 기간 : 5월 29일~30일 (이틀간, 전국 3,500여 개 투표소)
- 본 선거일 : 2025년 6월 3일 화요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 개표 및 당선인 확정 : 선거 다음 날인 6월 4일 새벽까지
- 당선인 공식 공표 : 선거일로부터 약 1주일 내
- 대통령 취임: 선거일로부터 약 1개월 내
이번 선거는 궐위 선거이므로 일반적인 대통령 선거와 달리 요일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투표 시간은 일반 선거의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가 아닌, 궐위 선거의 경우인 오후 8시까지로 연장되어 실시됩니다. 이는 더 많은 유권자들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대통령 선거 정당별 예상 후보자
2025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은 후보 선출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가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며, 그의 경기도지사 경험과 2022년 대선 경험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박용진 의원과 김두관 의원 등이 당내 경선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현 정부의 탄핵 상황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정권 교체를 목표로 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의힘은 탄핵이라는 정치적 부담을 안고 있으며,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안철수 의원 등 후보들이 쇄신과 변화를 내세우며 선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3정당 후보들로는 정의당 심상정 의원,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을 손에 꼽습니다. 이들은 기존 양당 구도의 틈새를 공략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무소속 후보로는 금태섭 전 의원과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출마를 검토 중입니다. 이들은 정당 정치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정치를 표방하며 유권자들에게 다가갈 계획입니다. 2025년 대선은 여야 구도 재편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각 정당과 후보들은 짧은 선거 기간 동안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입니다.
이상 탄핵 후 대통령 선거 일정, 대통령 선거일, 대통령 선거 주요 절차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